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가입 조건
정부 지원 복지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가입 조건

Jihoonw 2023. 6. 26.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해 중장기적 자산을 만들기 위한 비과세 적금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이에 많은 청년들이 신청하고 있는데요. 금융당국은 7월 달 부터 매월 2주간 가입 신청을 받기로 했습니다. 이에 본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과 가입 조건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의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매달 70만원 한도 내에서 일정 금액을 5년간 납부하면 정부 '기여금' (최대 6% 지급)과 + 은행 이자를 더한 = 금액을 만기 시에 수령 가능한 금융 상품입니다.  또한 은행 이자 소득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 내년 2월부터는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한 청년희망적금의 만기도 돌아오면서 가입 수요는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취급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아래 링크를 통해 관련 은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각 은행 별 앱을 통해 지점 방문이 아닌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가입 신청 시 1)나이 2)개인소득 3)가구원 4)가구 소득 확인 5)정보제동 동의로 심사가 진행됩니다. 신청 후 약 3주 정도 소요되며 확인 결과 통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은행 앱을 통해 신청하게 되면, 청년도약계좌의 정책상품을 운영하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메시지를 보내어 가구원 동의를 통해 심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에 승인이 나면 각 취급 은행별로 계좌를 개설하여 신청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 신규 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
  • 병역이행기간은 연령 계산시 제외됩니다. (최대 6년) : ex) 장교 근무 6년 시 만40세까지 가입 가능
  • 개인소득 기준으로 직전 과세기간(2022년)의 총급여가 연소득 7,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 가구 소득 기준 : 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비례하며,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 2023년 기준 1인 : 374만원,  2인 : 622만원,  3인 : 798만원,  4인 972만원)
  • 연소득 6,000만원 이하이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모두를, 연소득 6000만~7500만원 이하는 비과세 혜택만 받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주의사항 

  • 각 취급 은행에서 1인 1계좌 원칙으로 운영되어 1개의 계좌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 2022년 2월에 시행한 청년희망적금 상품과 중복으로 가입이 불가합니다.
  • 가입일 기준으로 과세 기간 소득 확인 안되면 전전과세 기간의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