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중국의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AI 기반으로 작동하는 챗봇이며, 다양한 텍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유명해졌는데요.
딥시크가 어떤 특징과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장단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딥시크 : 기본 정보
딥시크(DeepSeek)는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기반의 AI 챗봇으로, ChatGPT처럼 사용자와 자연어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모델명: 딥시크는 R1이라는 AI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약 670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고가 반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경쟁력: 딥시크는오픈AI의 O1 모델과 비교해 수학, 코딩, 자연어 추론에서 대등한 성능을 보입니다.
딥시크 성능
딥시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저비용, 고성능'이라는 점입니다. 많은 기존 AI 모델들은 고가의 반도체 및 서버를 필요로 하는 반면, 딥시크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비슷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딥시크의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 개발 방식은 엔비디아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데요.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를 사용하지 않고도 경쟁력 있는 AI 모델을 개발하여,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의 주가가 급락하는 등 시장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 경쟁력: 딥시크는 오픈AI의 O1 모델과 비교해 수학, 코딩, 자연어 추론에서 대등한 성능을 보입니다.
- 인기: 출시 후 일주일 만에 미국 앱스토어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무료 애플리케이션이 되었습니다.
- 성능: 딥시크는 기존의 o1 미니 모델을 능가하며, OpenAI 의 저비용 모델인 4o 미니 와 비교했을 때 성능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 언어 지원: 딥시크는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딥시크 개발 배경
- 창립자 및 팀 구성: 딥시크는 량원펑이라는 창립자가 이끌고 있으며, 팀은 주로 중국 명문대 출신의 젊은 인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연구 인력: 딥시크의 연구개발(R&D) 팀은 약 180명으로, 이 중 많은 수가 대졸 신입이거나 AI 업계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은 인재들입니다.
- 모델 개선: 딥시크는 DeepSeek-V2에서 6조 개의 토큰을 추가 학습하여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코딩과 수학적 추론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멀티헤드잠재어텐션(MLA): 딥시크의 AI 모델은 멀티헤드잠재어텐션(MLA)이라는 학습 아키텍처를 통해 추론 효율을 높였습니다.
딥시크 ChatGPT 차이점
- 목적: 딥시크는 정보 검색 및 데이터 분석에 중점을 두며, 챗GPT는 자연어 대화 생성에 중점을 둡니다.
- 데이터 처리 방식: 딥시크는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 사용 사례: 딥시크는 비즈니스 인사이트,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에 유용하며, 챗GPT는 고객 서비스, 개인 비서, 교육 등 다양한 대화형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합니다.
- 성능 비교: 딥시크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 및 분석에 강점을 보이며, 챗GPT는 자연어 처리에 강점을 보입니다.
딥시크 향후 전망
딥시크는 앞으로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무엇보다, 딥시크의 출시는 전세계적인 치열한 AI 기술 경쟁을 더 가속화 시킬 것이고 이에따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 내는 강력한 자극제가 될 것입니다.
댓글